전날 한 점차 패배는 뼈아팠다. 에이스가 출격했고, 꼭 잡아야 하는 경기를 놓친 후유증일까. 기아는 4월 27일 잠실에서 펼쳐진 LG와의 시즌 5차전에서 수 많은 찬스를 살리지 못하고 3-6으로 패배했다. 시즌 두 번째 연패와 세 번째 루징시리즈. 여전히 20승9패로 순위표 가장 높은 자리에 올라있다. 이의리의 공백으로 빠진 대체 선발 자리에 황용하가 투입되었으나 결국 패배를 기록했다.

 

목차

      2024년 4월 26일, 기아 vs LG 시즌 5차전 경기 결과

      4월 27일 기아 vs LG 경기결과
      4월 27일 기아 vs LG 경기결과, 출처 - 기아타이거즈

      • 패배 : 황동하(3과⅔이닝 5실점)
      • 홈런 : 소크라테스(시즌 4호, 4회 1점)
      • 팀타자 기록 : 38타수 12안타 3타점 1홈런
      • 팀투수 기록 : 8이닝 6실점 4탈삼진

      LG와의 주말 3연전의 두번째 게임. 지난 시리즈에서 스윕을 달성한 기아는 지금까지의 좋은 흐름을 살리지 못하고 시즌 두 번째 연패에 빠졌다. 그동안 1위를 유지한 비결은 견고한 선발 투수를 바탕으로 연패가 없었기 때문이다. 사실 오늘 경기는 LG의 에이스 엔스를 상대로 대체 선발이 투입되는 날로 힘든 경기가 예상되었다. 하지만 상대 선발 엔스를 초반에 잘 공략했지만, 결국 많은 찬스를 득점과 연결하지 못하고 LG보다 더 많은 안타를 생산했음으로 3점밖에 뽑지 못하고 패배했다. 찬스를 살리지 못한 뒤에는 어김없이 점수를 허용했다. 4회초 소크라테스의 홈런과 한준수, 최원준, 박찬호의 연속 안타로 만루 찬스를 잡았지만 1점밖에 뽑지 못했다. 이어진 4회말 결국 역전을 허용했고, 상대팀 선발 엔스가 내려간 뒤에서 산발적인 안타만 있었을 뿐 계속된 찬스를 살리지 못하고 루징시리즈를 허용했다. 올시즌 특유의 집중력이 사라진 경기였고, 상대팀 포수 박동원의 투수 리드가 상당히 돋보인 경기였다.

      다가온 5월, 어김없이 찾아온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시즌 4호 홈런
      소크라테스 시즌 4호 홈런

      KBO 입성 첫 해인 2022년. 기아의 소크라테스는 4월 24경기에 출전하면서 2할2푼의 타율, 1홈런 5타점으로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적응을 마치고 5월이 시작되자 반전을 보여준다. 5월 한달 26경기에 출전해 타율 0.415 5홈런 28타점 터트리며 무서운 방망이를 선보이며 5월 MVP를 차지하기도 했다. 그리고 2년차인 2023년에도 어김없이 5월부터 본격적인 타격감을 자랑하며 본인의 몫을 다해줬다. 벌써 KBO 3년차에 접어든 소크라테스는 올 시즌에도 조금 늦은 출발이었지만, 서서히 자신의 진가를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4월 27일 상대 선발 엔스로부터 4회 솔로홈런을 쳐낸 것을 비롯하여 5회 우전안타를 기록하며 멀티안타를 기록했다. 최근 5경기 3할 6푼의 타격감을 자랑하며 5월이 왔음을 알리고 있다. 그리고 기아 타이거즈 외국인 타자 최초로 3년차 이상의 활약을 할 수 있을지 기대된다.

      기아타이거즈 소크라테스, 출처 - 티빙

      타이거즈 '나스타', 주장이 돌아온다

      2024년 기아타이거즈의 주장으로 선임된 나성범은 의욕적으로 시즌을 준비했다. 하지만 시범경기를 치르면서 우측 허벅지 햄스트링 손상으로 아직 1군에서는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고 재활 중이다. 하지만 조만간 나성범이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나성범은 4월 27일 퓨처스리그 경기에 나서며 올해 첫 공식 경기에 출전했다. 27일 함평에서 열린 상무와의 2군 경기에서 3타수 1안타를 기록하며 실전감각을 끌어올렸다. 특히, 첫타석부터 안타를 뽑아내며 팬들을 설레게했다. 이범호 감독도 나성범의 타격 영상을 확인하고, 다가오는 주중 시리즈부터 나성범을 합류시킬 계획이다. 현재 1위를 수성하고 있는 기아에게 주장 나성범의 복귀는 더욱 폭발적인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기아 나성범기아타이거즈 나성범
      기아 나성범, 출처 - 기아타이거즈

      4.27 KIA vs LG 하이라이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