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장려금 조건 총정리! 최대 100만원 받는 방법은?

자녀장려금 조건 2025년 자녀장려금 최대 100만 원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의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에 전년도 소득 기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현금 지원금입니다. 맞벌이 부부합산 총소득 7천만 원 미만이라면 자녀 1명당 최대 1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025 자녀장려금 조건 신청자격 총정리
- 2024년 12월 31일 기준 소득(근로, 사업, 종교)이 있는 국내 거주자
-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 재산 합계액이 2억 4천만 원 미만
- 만 18세 미만의 부양 자녀
2025 자녀장려금 조건 및 신청자격은 위와 같습니다. 근로자 또는 사업자라면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7천만 원 미만, 재산 합계액이 2억 4천만 원 미만이라면 자녀 1명당 최대 1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가구 소득과 재산을 입력하면 간편하게 2025 자녀장려금 수령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녀장려금 계산기 클릭 한 번으로 신청기간 신청방법 확인 하는 방법 (2025)
자녀장려금 계산기 클릭 한 번으로 신청기간 신청방법 확인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의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에 전년도 소득 기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지
wowmn.tistory.com
자녀장려금 소득 기준 정리
가구 명칭
|
연간 총 급여액 등
|
지급액
|
홑벌이 가구
|
4 ~ 7천만원
|
50만원 ~ 100만원
(자녀 1인당) |
맡벌이 가구
|
600 ~ 7천만원
|
자녀장려금은 홑벌이 가구 기준으로 소득 7천만원 미만이라면 자녀 1명당 최대 1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기준은 거주자 및 각각의 총 급여액 등이 3백만 원 이상인경우에는 맞벌이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근로자의 경우 아래 글을 참고하면 2024년 소득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녀장려금 재산 기준 정리
- 2024년 6월 1일 기준 재산 : 주택, 토지, 자동차, 전세금, 분양권 등 포함
자녀장려금 소득 기준을 충족했다면 그 다음으로 재산 기준을 살펴봐야 합니다. 2025년 자녀장려금 수령을 위한 재산 기준일은 2024년 6월 1일입니다. 2024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가구원 모두가 소유하고 있는 재산합계액이 2억 4천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재산에 포함되는 항목으로는 주택ㆍ토지ㆍ건축물(시가표준액), 승용자동차(시가표준액, 영업용 제외), 전세금, 금융자산ㆍ유가증권, 회원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재산가액에서 부채는 차감되지 않습니다. 전세금은 간주전세금(기준시가 X55%)과 실제 전세금 중 적은 금액으로 평가합니다.
자녀장려금 재산기준 가운데 자동차의 가액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5년 자녀장려금 신청기간, 지급 일정
- 자녀장려금 정기신청 : 2025년 5월 1일 ~ 6월 2일
- 자녀장려금 기한 후 신청 : 2025년 6월 3일 ~ 12월 1일
- 자녀장려금 정기신청 지급일 : 2025년 9월 말
- 자녀장려금 기한 후 신청 지급일 : 신청일 기준 4개월 이내 지급
2025년 자녀장려금 신청기간은 5월 1일부터 시작합니다. 정기신청은 6월 2일까지 신청할 수 있고, 이때 신청한 금액은 2025년 9월 말일 지급됩니다. 자녀장려금 정기신청이 종료된 이후에도 신청은 가능합니다. 다만 기한 후 신청의 경우 최초 받을 수 있는 금액에서 5% 차감된 금액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장려금 신청 방법 1(개별인증번호 8자리 받은 경우)
- 전화 : 1544-9944 → 주민등록번호, 개별인증번호 8자리 입력
- 모바일 : 손택스 → 주민등록번호, 개별인증번호 8자리 입력
- PC : 홈택스 → 주민등록번호, 개별인증번호 8자리 입력
자녀장려금 신청 방법 2(개별인증번호를 받지 않은 경우)
개별인증번호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모바일 손택스 또는 PC를 이용하여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하면 소득 및 재산을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댓글